“왓더.. 나 어디로 가요?” 서울 경계경보 오발령에 외국인들 멘붕 전화 쏟아졌다

출처 : 온라인 커뮤니티, MBC '전지적 참견 시점'
출처 : 온라인 커뮤니티, MBC '전지적 참견 시점'

5월 31일 서울시에 공습경보 사이렌이 울리고 위급 재난 문자가 발송되어 시민들이 대피 준비에 큰 혼란을 겪었는데요. 서울시에 거주 중인 외국인들 또한 크게 놀라며 서울 곳곳에 웃지 못할 소동이 일어났습니다.

 

"사이렌에 문자까지.." 서울시민 대혼란

출처 : 온라인 커뮤니티
출처 : 온라인 커뮤니티

5월 31일 오전 6시 32분쯤 서울시에는 공습경보를 알리는 비상 사이렌이 약 1분간 울렸습니다.

이후 6시 41분에는 서울에 위치한 모든 시민들에게 위급 재난 문자가 발송됐습니다. 문자는 "서울지역에 경계경보 발령. 국민 여러분께서는 대피할 준비를 하시고, 어린이와 노약자가 우선 대피할 수 있도록 해 주시기 바랍니다"라는 내용을 담고 있었습니다.

많은 시민들은 울린 공습경보 사이렌과 재난문자 때문에 이른 아침에 잠에서 깼는데요. 하지만 어떤 이유 때문에 대피해야 하고, 어디로 대피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정보가 안내되지 않아 시민들은 큰 혼란을 겪어야 했습니다.

출처 : 온라인 커뮤니티
출처 : 온라인 커뮤니티

결국 시민들은 주요 포털사이트와 국민재난안전포털 사이트 등에 접속하는 등 직접 정보를 찾기위해 나섰는데요. 순간적으로 과도한 트래픽이 몰리자 해당 웹사이트들이 일시적으로 마비되었고 이는 더욱 큰 혼란을 초래했습니다.

이후 약 20여 분 뒤인 오전 7시 5분에 "서울특별시에서 발령한 경계경보는 오발령 사항임을 알려드린다"는 내용의 위급재난문자가 다시 한번 발송되었습니다.

 

"어눌한 한국어로.." 외국인들 '멘붕' 상황 펼쳐져

출처 : 온라인 커뮤니티
출처 : 온라인 커뮤니티

한편, 이번 사태로 서울에 거주 중인 외국인들도 큰 혼란을 겪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당황한 외국인 친구들로부터 연락을 받게 된 사연이 쏟아졌는데요.

한 누리꾼은 혼란을 겪고 있는 와중에 크게 놀란 프랑스 친구로부터 전화를 받은 사연을 털어놨습니다. 글쓴이 A씨에 따르면 '한국생활 반년차'로 프랑스 친구는 글쓴이에게 전화를 걸어 어눌한 말투로 어디로 대피해야되는지 물었습니다.

A씨는 "나도 자다 깨서 놀란 상태인데 어디로 가야 할지 몰라서 일단 초등학교 앞으로 나오라고 했다"며 "만나서 국밥이나 먹어야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출처 : 온라인 커뮤니티
출처 : 온라인 커뮤니티

외국인 남편과 함께 살고 있다는 누리꾼 B씨 역시 큰 혼란을 겪은 사연을 전했습니다. B씨는 "휴대폰이 안 터지는 것을 확인하자마자 남편과 재난 가방을 싸서 나왔다. 대피소 가는 길에 휴대폰이 다시 작동하더라. 그 때부터 한국어를 못하는 남편 친구들한테 계속 전화가 오고 난리도 아니었다"고 말했습니다. 

출처 : 온라인 커뮤니티
출처 : 온라인 커뮤니티

외국인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던 고시원도 대혼란이었습니다. 한 누리꾼은 "내가 사는 고시원에 외국인들이 절반 이상인데 아까 재난문자가 오고 나서 외국인들 잔뜩 복도에 나와가지고 우왕좌왕하더라. 어쩔줄 몰라하는 외국어들이 한참 들렸다"고 전했습니다.

 

실제 상황에서는 어디로 대피?

출처 : 온라인 커뮤니티
출처 : 온라인 커뮤니티

경계경보는 적의 지상공격 및 침투가 예상되거나 적의 항공기 및 유도탄에 의한 공격이 예상될 때 발령되는 경보입니다.

경계경보가 발송될 경우 국민들은 즉시 대피소로 피신해야 하는데요. 대피소 위치는 국민재난안전포털, 각 시군별 홈페이지, 스마트폰 앱 '안전디딤돌'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사태처럼 과도한 트래픽이 몰리거나 통신망이 마비될 경우를 대비하여 위치를 미리 파악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인근에 대피소가 없거나 대피소 위치를 알 수 없다면 큰 건물의 지하실이나 지하 주차장, 지하철역으로 우선 대피해야 합니다.

특히 지하철 역은 휴대용 비상 조명, 화재 대피용 마스크, 손수건, 생수, 양압식 공기호흡기 등의 구호용품 등이 구비되어 있어 대피장소로 가장 용이합니다.

대피 후에는 라디오, TV 등을 통해 기상특보 상황, 비상연락망을 확보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