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 빼들었다” 방시혁, 민희진의 뉴진스 가로채기 시도 눈치채고 감사 착수..심각한 상황 맞이할 수 있는 이유

인스타그램

‘뉴진스’를 론칭시킨 어도어 민희진 대표의 과거 인터뷰 발언이 화제입니다. ‘뉴진스의 엄마’로 불리는 민희진 대표가 하이브와 선을 긋는 발언을 했기 때문입니다. 민희진 대표와 하이브간의 분쟁은 더욱 뜨거워질 것으로 보입니다.

민희진 대표, “뉴진스, 하이브 필요없다” 말한 이유는

인스타그램

민희진 대표는 뉴진스의 소속사인 어도어의 대표입니다. 때문에 그는 ‘뉴진스의 엄마’로 불리고 있습니다.

한편 어도어와 모기업인 하이브간의 분쟁이 수면 위로 떠올랐습니다. 이에 민희진 대표가 과거 하이브와 이미 선을 긋는 발언을 한 것이 화제입니다.

지난해 1월 주간지 ‘씨네21’에서 진행한 민희진 대표와의 인터뷰 내용이 공개되었습니다. 민희진 대표는 인터뷰를 통해 SM엔터에서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 몸담았던 과거와 앞으로의 행보에 대한 대화를 나눴습니다.

인스타그램

이에 민희진 대표는 ‘하이브에서 어도어로 독립해서 대표와 총괄 프로듀서 역할을 담당하게된 까닭’을 묻는 질문에 “대중들은 ‘하이브 자본’을 쉽게 외치지만 개인적으로는 동의할 수 없다”고 털어놨습니다.

이어 민희진 대표는 “투자가 결정되고 금액이 언급되어도 실제로 레이블 경영 전략은 하이브와 전혀 관계없는 레이블의 책임이고 능력이다”고 말했습니다.

인스타그램

또한 민희진 대표는 “당시 하이브 외에도 비슷한 규모의 투자 제안을 받았다”며 “나에게는 여러가지 옵션과 대안이 있다”고 털어놨습니다.

이와 관련해 그는 “투자처와 투자금액보다 나의 독립적인 창작에 대해 간섭하지 않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며 “그러므로 꼭 투자처가 하이브일 필요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하이브, 어도어의 독립 시도에 내린 조치는?

인스타그램

이에 민희진 대표는 “‘당시에는 왜 굳이 하이브의 투자를 받았냐’는 질문도 있을 수 있다”며 설명을 이어갔습니다.

이어 그는 “뉴진스의 뮤직비디오를 4편이나 제작했다. 제작비를 두고 하이브의 거대 자본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이 많았다”고 설명했습니다.

덧붙여 그는 “하이브는 어도어의 제작 계획이나 비용 처리에 대해 자세하게 관여하지 않는다”며 “하이브는 우리의 운영에 자율성을 보장한다”고 고백했습니다.

인스타그램

덧붙여 민희진 대표는 “과거의 수많은 경험을 바탕으로 시장 조사를 하고 예산을 계산한다”며 “그렇기에 예산 금액은 다른 회사들과 큰 차이가 없다”고 밝혔습니다.

뉴진스가 데뷔 2개월 만에 정산을 받은 내용도 언급됐습니다. 이에 민희진 대표는 “정산이 빠르게 진행된 것은 내가 더욱 신경써서이거나 하이브의 자산 규모가 크기 때문이 아니다”고 말했습니다.

이외에도 민희진 대표는 기존에 하이브에서 작업하던 스탭들이 아니고 SM엔터 출신의 프로듀서들이 작업하게 된 것에대해서도 입을 열었습니다.

이에 민희진 대표는 “‘어도어는 하이브의 자회사로 출발했을 뿐이지 독립적이고 자율성을 보장받은 회사이므로 문제될 것이 없다”고 입장을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어도어는 민희진이 지향하는 음악과 사업을 하기 위해 설립한 회사이다”라며 설명을 덧붙였습니다.

이에 그는 “하이브에서 어도어를 론칭하며 ‘창작과 운영의 자율성 보장’이라는 강력한 조건을 전제했다”고 밝혔습니다.

인스타그램

민희진 대표는 “어도어의 프로덕션 구축과 진행에 있어 하이브는 어떠한 연광성도 접점도 없다”며 “가끔 어도어의 음악 스타일을 하이브로 묶거나 SM엔터와 묶어 평가하는 반응을 볼 때 상당히 의아한 기분이 든다”고 말했습니다.

현재 민희진 대표는 하이브와 어도어간 분쟁의 중심에 서 있는 인물입니다. 하이브는 4월 22일부터 민희진 대표와 어도어 경영진 A씨 등에 대한 감사 절차에 들어갔다고 밝혔습니다.

인스타그램

하이브는 A씨 등이 경영권을 손에 넣어 독자 행보를 시도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또 어도어 경영진들이 투자자 유치를 위해 대외비인 계약서 등을 유출하고 그 과정에서 부적절한 외부 컨설팅을 받은 것으로도 의심하고 있습니다.

하이브는 어도어 이사진을 상대로 주주총회 소집을 요구했습니다. 또한 민희진 대표의 사임을 요구하는 서한을 발송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뿐 아니라 전산 자산 등을 분석한 뒤 이를 토대로 법적 조치에 나설 방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