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4명 중 1명은 비혼족” 결혼안하고 혼자 살때 필요한 월 최소금액은 이렇습니다

최근 이혼률이 높아질뿐만 아니라 아예 비혼을 계획하는 사람들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한 조사결과에 의하면 미혼남녀 4명 중 1명이 비혼주의를 꿈꾼다고 하는데요. 이렇게 독신으로 살게 된다면 필요한 1인 생계비는 어느 정도일까요?

과거에는 결혼이 필수라고 여겨지던 시대였다면, 요즘은 시대가 변화하면서 사람들의 가치관도 많이 달라졌습니다. 특히 TV나 유튜브 등의 다양한 매체에서 독신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을 접해 볼 수 있다보니 비혼주의에 대한 관심은 더욱 늘어나고 있습니다.

특히 20~30대의 경우 이런 생각을 더욱 강하게 갖고 있는데요. 최근 한 설문에 의하면 응답자 중 결혼을 꼭 할 것이라고 대답한 사람은 31.5%에 불과했습니다. 결혼을 할지 말지 미정이라고 대답한 사람은 43.7%였으며, 자발적인 비혼주의를 선택한 사람은 24.8%였습니다.

즉, 요즘 미혼남녀 4명 중 1명은 비혼으로 살아갈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실제로 최근의 이런 트렌드는 통계청 조사에서도 나타나고 있는데요. 인구 1,000명당 혼인건수를 의미하는 조혼인율을 살펴보면 2011년에는 6.6명에서 2020년 4.2명으로 매년 감소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연간 혼인 건수 역시 2011년 32만 9000건에서 2020년 21만 4000건으로 십년 동안 10만 건 이상 감소했습니다.

이들이 비혼을 선택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비혼주의를 주장하는 비율이 여성 27.4%, 남성 21.1%로 여성이 더 높은 수치를 보였습니다. 남녀가 결혼을 하지 않겠다고 주장한 이유는 서로 달랐는데요.

여성들의 경우 ‘그냥 결혼하고 싶지 않다‘, ‘마음에 드는 배우자가 없다‘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습니다. 그 외에도 ‘결혼으로 인해 의무적인 관계에 얽매이게 되는 것이 부담스럽다’, ‘가족보다 나 자신에 집중하는 삶을 살기 위해’, ‘자녀 양육에 대한 부담 때문에’ 등 다양한 사유가 있었는데요. 여성의 경우 ‘결혼이나 출산 후 경력단절이 되는 것을 원치 않기 때문에’라는 답변 역시 비중이 높았습니다.

한편 남성들의 경우 ‘결혼이나 주택 마련, 육아 등에 필요한 경제적 부담을 짊어지는 것 때문에 비혼을 결심했다’라고 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습니다. 그 외에도 결혼으로 인해 양가 가족이나 가족행사 등에 얽매이는 것이 부담스럽다는 대답을 내놓았습니다.

이렇게 결혼을 하지 않고 독신주의를 원하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비혼의 삶을 유지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비혼을 꿈꾸고 있는 사람들은 ‘안정적인 생활을 위한 경제력’, ‘재테크·노후준비 등 경제관념’이 중요하다고 답했습니다.

한편 최저임금위원회는 혼자 사는 직장인이 한 달 동안 생활하는데 필요한 평균 금액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는데요. 이에 따르면 2021년 결혼하지 않고 혼자 사는 직장인이 필요한 실태생계비(생활비)는 한 달에 220만 5432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전년(208만 4332원)에 비해 12만 1100원(5.8%) 늘었습니다.

다만, 이는 1인 가구 가운데 무주택 임금노동자를 기준으로 낸 조사 결과로, 전·월세 등의 주거비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생계비 지출 내용을 항목별로 살펴보면 전체 지출에서 월세·식비 등 ‘소비지출’ 비중은 80.4%, 세금·사회보장 등 ‘비소비지출’ 비중은 19.6% 였습니다.

실제로 가구별 생활비를 보면 1인 가구 223만 8472원, 2인 가구 332만 2420원, 3인 가구 451만 6289원, 4인 가구 585만 1159원, 5인 이상 가구는 632만 6150원으로 나타났습니다.

다만 일각에서는 “최저임금위원회가 분석한 비혼 단신 근로자 실태생계비는 한 달에 500만 원 이상 버는 고소득자의 생계비까지 포함한 것이다. 이보다는 OECD와 같은 국제기구 정의에 따라 중위임금의 2/3 미만인 저임금 근로자의 생계비를 고려해 기준을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라고 의견을 내놓기도 했습니다.

이 외에도 비혼을 유지하며 살아가려면 재테크나 노후대비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독신가구의 특성에 맞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한데요. 이와 관련하여 한 전문가는 1인 가구를 위한 은퇴준비 체크포인트를 발표해 이목을 끌었습니다. 그는 “1인 가구의 경우 경제적인 노후준비는 물론이고 은퇴 후에 자신을 부양해 줄 사람이 없는 만큼 가족을 대신할 공동체를 만들고 건강관리를 잘 하도록 애써야 한다“라고 조언했습니다.

전문가는 “그 중 경제관리의 경우 먼저 필수 생활비를 마련하기 위해 연금 준비를 반드시 해두어야 하는데,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시기에 국민연금·퇴직연금·개인연금의 3층 연금을 꾸준히 적립해야 한다”며 “월급의 30% 정도를 연금자산에 저축하는 것이 좋다”고 권했습니다.

또한 그는 “1인 가구의 주택 소유율은 매우 낮은 편인데, 자가를 마련해두면 은퇴 후에 집을 담보로 맡겨두고 연금 형식으로 생활비를 타는 주택연금제도를 활용할 수 있어 노후 경제력 확보에 안정적이다”라고 조언했습니다. 이어 “외롭지 않은 노후를 보내기 위해 동호회나 종교활동 등 공동체에 속하는 것이 좋다”라면서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건강이다. 몸과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꾸준히 관리해야 한다”라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