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보고서 써야하니 사진이나 찍죠” 중국에 인공강우 실험하러 가서 기념사진만 찍고 온 기상청

출처 : 기상청

문재인 정부 당시 중국과 협력하여 인공강우를 실험을 진행하기로 했었는데요. 해당 실험은 결국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하고 실패하였습니다. 그런데 최근 조선일보의 단독 보도에 따르면 이 실험을 하기 위해 중국으로 넘어간 기상청 직원들은 기념사진만 찍고 돌아온 것으로 밝혀졌는데요.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요?

출처 : 기상청

2019년 3월 문재인 전 대통령은 미세 먼지 대책으로 ‘인공강우’를 들면서 “중국과 협력해 서해 상공에서 인공강우를 실시하는 방안을 추진하라”고 지시했습니다. 즉, 중국에서 넘어오는 미세 먼지를 인공강우를 통해 서해상에서 걸러내 국내로 유입되지 않게 하겠다는 아이디어였는데요.

우리 정부는 중국과 ‘한중 미세 먼지 고위급 정책 협의회’를 설립하는 데 합의하고, 양국에서 공동으로 인공강우를 실험 하기로 했습니다. 이 때 발생하는 비용은 실험이 열리는 국가에서 부담하는 형태였는데요.

출처 : 기상청

2019년 8월 충남 서산 앞바다에서 중국 기상 당국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첫 실험이 열렸습니다. 기상청은 1400만 원을 들여 기상 항공기를 이용해 ‘염화칼슘 염소탄’ 24발을 발포했습니다. 그러나 비는 만들어지지 않았고, 결국 실험은 실패로 돌아갔습니다.

이후 9월에는 중국에서 실험을 하기 위해 우리 기상청 2명이 중국 닝샤후 이족자치구 류판산으로 건너갔는데요. 그런데 최근 조선일보의 단독 보도에 따르면, 실험을 하기 위해 중국으로 출장을 간 기상청 직원들은 출장 보고서에 들어갈 기념 사진만 찍고 돌아온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출처 : 중국 인민보, 주간조선

중국 측에서 갑자기 항공기 실험을 보류했기 때문인데요. 중국 측은 과거에도 이미 “항공기를 활용한 서해상 인공강우 실험은 해본 적도 없고, 실험 효과도 검증하기 어렵다”며 실험을 무산시킨 적이 있었습니다. 결국 출장보고서를 써야 했던 기상청 직원들은 ‘인공강우 대포’, ‘인공강우 로켓’등 중국 장비 앞에서 인공강우탄을 발사하는 시늉을 한 채 기념 사진만 찍고 돌아왔습니다.

결국 ‘한중 인공강우 실험’은 이렇게 끝이 나버렸는데요. 이후 정부에서 진행된 중국발 미세 먼지 대처도 이렇다 할 성과가 없었습니다. 박선숙 이화여대 교수는 “인공강우를 통한 미세 먼지 저감은 효과가 입증된 바 없다“며 “친중 성향 정부가 무리하게 중국 기술을 활용해보려다 일어난 황당 해프닝”이라고 전했습니다.

출처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편, 지난해 우리나라 대기 중 초미세 먼지 평균 농도는 18.9㎍이었고 중국은 32.6㎍이었는데요. 이는 세계보건기구(WHO) 권고 기준인 ‘연평균 농도 5.0 이하’보다 훨씬 높은 수치입니다. 국민의힘 이주환 의원은 “우리나라 초미세 먼지 농도가 OECD 가입국 38국 중 35위로 최하위권에 머물고 있는 만큼 보여주기식 대책이 아닌 실질적인 협력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전했습니다.

이주환 의원이 기상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기상청은 2018년부터 작년까지 70차례 인공강우 실험을 벌였고 51번을 ‘성공’으로 판단했습니다. 올해는 13차례 실험을 했는데 결과는 아직 분석 중입니다.

인공강우 실험으로 내린 비의 양은 최대 3.5mm에 그쳤는데요. 지난해 5월 전북 군산시 일대에서 실시한 실험 때 비가 3.5mm 내렸습니다. 눈이 내린 경우에도 강설량은 1.5cm가 최대였습니다.

출처 : 한경

인공강우로 고농도 미세먼지를 줄이거나 가뭄을 해소할 수 있게 하려면 ‘600㎢ 면적에 2시간 이상 10mm 이상 비’가 내리게 할 정도 기술이 확보되어야 하는데요. 하지만 현재 국내 인공강우 기술 수준은 ‘서울에서 실험을 하면 일부 지역에 1mm 안팎 비를 더 내리게 하는 정도‘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한편, 인공강우 실험 시 ‘구름씨앗’으로 사용되는 요오드화은이 생태계나 인체에 유해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는데요. 기상청은 “국제적으로 인공강우에 요오드화은이 사용되며 매우 적은 양만 살포돼 생태계나 인체에 유해성은 없다“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이주환 의원은 “전 세계가 인공강우 기술 개발에 뛰어드는 상황으로 이제는 우리도 성과를 도출할 때”라면서 “요오드화은에 대한 불안감도 분명 존재하므로 명확한 안전기준을 마련하고 정보공개에도 힘써야 한다”고 전했습니다.